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 이론
생태체계 이론
인간 발달의 생태학은 적극적이고 성장하는 인간과 그 인간이 사는 변화하는 환경이 서로 점진적이고 상호적으로 순응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인간이 사는 환경은 즉각적 환경과 즉각적 환경이 속한 좀 더 커다란 환경으로 나누어진다. 순응 과정은 즉각적 환경과 더 큰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는다
1) 생태학의 세 가지 특징
첫째, 인간은 성장하면서 환경과 역동적 관계를 갖는다. 인간은 백지에 그림을 그리듯이 발달하는 존재가 아닌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성장하고 다시 환경에 영향을 주면서 발달하는 존재이다. 인간은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기만 하는 존재가 아닌 환경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주는 존재이다. 예) 아이들은 태어나서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말과 행동을 흉내 내기도 하고, 부모의 가치관을 내면화함으로써 한 인간으로 성장한다. 동시에 아이는 부모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가족은 그 모양과 형태가 또는 사람의 방향이 달라진다. 아이는 자신이 속한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다시 환경에 영향을 줌으로써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을 재구조화하기도 한다.
둘째, 발달하는 인간이 속한 환경은 발달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인간과 환경 사이에는 상호성이라는 역동적 순응을 갖는다.
역동적 순응 : 서로 주고받으면서 적응하고 변화하는 과정 예) 부모는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영향만을 주는 존재가 아니라 동시에 아이에게 영향을 받는 존재 부모는 자녀에게 즉각적 여건으로서 발달에 일차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부모는 동시에 자녀가 성장하면서 영향을 받고 부모도 변화한다. 자녀는 즉각적 여건에 적응하면서 순응하지만 역시도 자녀에게 적응하면서 순응한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는 역동적 순응 과정이 형성된다.
셋째, 발달과 관련된 환경은 즉각적 여건과 즉각적 여건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즉각적 여건을 포함하고 있는 좀 더 큰 주변 상황과의 상호작용을 모두 포함한다.
환경 : 발달하는 인간, 그 인간이 속한 즉각적 여건, 즉각적 여건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즉각적 여건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 모두를 말한다. 각각의 여건과 상황은 독자적으로 발달하는 인간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상호작용을 하면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즉각적 여건은 미시체계라고 부른다. 즉각적 여건 간의 상호작용을 중첩체계라 부른다. 즉각적 여건을 둘러싼 사회구조를 외적 체계라고 부른다. 이 모든 여건과 사회구조를 포함한 상황을 거시체계라고 부른다.
2) 체계의 이해
(1) 미시체계
얼굴을 맞대고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로 예시로는 가정, 학교, 놀이터, 학원, 친척 집 등이 있다. 역할이 있고 역할을 규정하는 활동이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모두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다. 아이들은 미시체계 내에서 일정한 역할을 부여받는다. 아이들은 자녀로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리고 학생으로서 자신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등과 같은 역할을 부여받는다. 자녀의 역할과 활동은 모두 부모나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호작용의 경험 중에서 심리적 상호작용은 자녀의 발달과 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차적으로 아이들이 심리적 성숙을 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장이다. 미시체계의 각각 조직들은 모두 따로 존재한다. 아이들은 가정에서 얼굴을 맞대고 상호작용하고 학교에서 얼굴을 맞대고 상호작용한다. 이렇게 얼굴을 맞대고 직접적 상호작용을 하는 조직체 각각 모두를 미시체계라고 한다. 인간의 미시체계는 직접적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의 숫자만큼 많다.
(2) 중첩체계
미시체계들이 겹치면서 발생하는 환경을 말한다. 아이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미시체계의 장은 여러 종류가 있고 각각 존재하는 미시체계들이 겹치면서 아이들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예) 학교, 가정, 교회, 친척, 학원 등 아이들은 습관을 가정에서 가지고 있던 습관을 학교로 가져간다. → 습관에 대해 학교 교사들은 아이들과 직접적 상호작용을 한다. → 아이들은 습관 형성에 있어 부모의 영향만 받는 것이 아니고 학교 교사의 영향도 받는다. 자신들이 속한 환경에 따라 많은 수의 중첩체계를 가질 수도 있고 적은 수의 중첩체계를 가질 수도 있다.
(3) 외적 체계
발달하는 사람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즉각적 여건이 아닌 주변 환경을 말한다. 주변 환경은 즉각적 여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 상황이다.
(4) 거시체계
발달하는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는 미시체계, 중첩체계, 외적 체계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상황은 흔히 문화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문화는 한 인간이 발달하도록 하는 시대사상, 관습, 관념, 전통 등과 같은 모든 것을 포함한다.
일반체계 이론
일반체계이론의 발달과 특성
(1) 발달
가족치료의 초기 모델은 1950년대에 출현하여 1970년대에 절정에 이른 체계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체계론적 용어를 함축하는 용어는 일반체계이론, 사이버네틱스, 생태체계이론, 전일론, 자연 체계 이론 등 다양하다.
(2) 특성
일반체계이론은 배를 타란 피가 타란 생물체계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기계론적 사고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유기체론을 발전시킨 구체적인 이론 형식으로 간주한다.
체계론적 용어의 공통점 : 부분이 아니라 전체와 상호 연관성을 강조한다. 일반체계이론은 체계가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환경의 지속적인 입력과 출력을 통해 자신을 유지해 나간다고 보는 살아 있는 체계에 대한 생물학적 모델이다. 일반체계이론은 체계를 환경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개방체계로 보기 때문에, 외부 관찰자가 체계에 대한 투입과 산출 간의 피드백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체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3) 기본 개념
- 체계와 하위체계 체계는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는 부분들의 집합이다. 체계는 여러 수준이 있다. 구분 : 어떤 특정 체계보다 더 높은 수준은 그 체계의 상위체계이고, 더 낮은 수준은 하위체계 각 수준의 체계에서 관찰되는 현상은 그보다 낮거나 더 높은 수준에서 존재하지 않는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 체계의 경계 모든 체계는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성질 및 관계와 수량에서 유한하다. 체계의 유한성은 체계의 경계에 의해 구현된다.
경계란? 체계의 유한성을 가리키는 특정한 규정성, 체계의 생성이나 소멸은 경계의 존재에 따라 다르게 표시된다. 하나의 체계는 상위체계의 부분이며, 더 작은 하위체계로 구성된다. 경계의 개념은 특정 체계가 상위체계와 하위체계로부터 어떻게 분리되고 소속되는가에 따라 체계의 정체성이 달라짐을 시사한다. 체계는 그 자체로 존재하면서도 자기 경계 밖의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살아 있는 체계는 그 자체로 존재하면서도 자기 경계 밖의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 가족 체계의 경계 구분 - 기능적인 가족 : 개인의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상호작용 - 밀착된 경계의 가족 : 가족원 간의 지나친 상호작용과 지지, 협동, 관여 등으로 인해 가족에 대한 소속감과 충성심은 강하지만 개인으로서의 자율성이나 독립성은 부족하며, 가족원 개인이 독립적으로 성장할 기회가 방해받을 가능성이 크다.
'사회복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가족상담 사회변화와 한국가족 (0) | 2023.05.15 |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음양오행 (0) | 2023.05.12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사이버네틱스 (0) | 2023.05.03 |
[사회복지사] 아동복지론 에릭슨 아동 욕구와 환경의 중요성 (0) | 2023.04.30 |
[사회복지사] 아동발달이론의 생애주기 관점과 생태체계 관점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