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

[자원봉사론]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 1.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 전통사회의 상부상조 1.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유래 : 단군신화의 ‘홍익인간’ 2.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향도 3. 중. 남부지방의 논농사 지대에서 농사를 짓거나 길쌈을 같이 하는 노동조직인 ‘계’, ‘두레’, ‘향약’ 등도 자원봉사 정신과 같은 뜻이나 서로 품을 팔아 상부상조하는 경제적 보상의 측면이 강한 것이 지금의 자원봉사와는 차이가 있음. (권중돈 외, 자원봉사의 이 해와 실천, 2008) 우리의 전통적인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적으로 상부상조하는 두레와 농촌에서 노동력을 교환하는 품앗이 활동이라고 한다. 또한 신라시대에 성행하던 계조 직, 향약 등도 전통적인 자원봉사활동이라고 보고 있다. 1. 홍익인간 : 인간세계를 널리 이롭게 한다는 의미로 한국 사상의 원형.. 2023. 3. 28.
자원봉사의 역사와 발전과정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와 현황 우리나라에서 사회봉사 활동이 시작한 것은 기독교적인 사상과 개화사상을 받아 YWCA와 적십자 활동이 근대화가 시작될 무렵 시작하였다. 광복 후 미군정시대, 6·25 이후에는 외원기관이 들어오면서 각종 모금 활동이 전개되고 자원봉사활동이 시작했으며 60년대 들어서면서 대학생들의 농촌봉사활동이 전개되었다. • YMCA (1903년) : 현대적 의미의 자원봉사 도입 • 교회 및 YWCA, 대한 적십자사 등 각종 단체를 주축으로 한 자선적. 박애 적 성격을 띠는 초보적인 형태의 자원봉사활동 • 1938년 인부 상부상조와 국민 자각을 향상하기 위하여 서울에 ‘서부 인보관’이 세워짐 • 1941년 4개소의 인보관이 설립되면서 관에서 임명하는 자원봉사 활동 위원인 방면위원이 250명 .. 2023. 3. 26.
자원봉사론의 정의와 특성 및 필요성 1. 자원봉사의 정의 자원봉사란 타인으로부터의 물질적 기대 또는 반대급부 없이 자발적으로 남을 위해 공적/사적 기관을 통하여 다른 사람이나 자신이 속한 크고 작은 공동체의 안녕과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고 애쓰는 다양한 형태의 이타적 행위 이타적 자원봉사 자기중심적인 일반적 행동이 아니라 문제를 가진 당사자의 욕구에 귀를 기울이며, 문제의 실상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문제에서 헤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잠재력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의 힘으로 살아가는 기쁨을 맛볼 수 있게 용기를 북돋워 주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 자원봉사의 특성으로는 자발성, 이타성, 무보수성, 조직성, 지속성, 공익성으로 나눌 수 있다. 자발성 조직의 강압이나 타인의 의사에 의해 하는 활동이 아닌, 봉사자 스스로 이웃 .. 2023. 3. 26.
너의 이름은 영화 리뷰 추천애니 1. 너의이름은 영화소개 2023년 신카이 마코토의 이 영화 순위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이란 작품은 신카이 마코토의 영화 중 단연 최고라 불리는 영화로 2016년 개봉한 일본 판타지 애니메이션입니다. 일본에서만 1,500만 관객을 돌파하여 대흥행을 기록한 영화이며 전 세계 80개 국에서 동시 개봉한 영화입니다. 제40회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수여받은 바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17년 1월에 개봉된 영화로 관객평점이 9점대로 스토리, 음악, 작화 모두 빠짐없이 호평을 받았습니다. 저 역시 9점 이상의 점수를 주고 싶은 영화로 벌써 2017년에 개봉한 영화임에도 현재 다시 봐도 전혀 부족함 없는 작품이고 특히 작화가 너무 예쁘고 음악이 좋습니다. 등 지브리 스튜디오 에 참가한 .. 2023.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