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자원봉사론]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

by 사만다양 2023. 3. 28.
반응형

1.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

전통사회의 상부상조

1.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유래 : 단군신화의홍익인간

2.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향도

3. . 남부지방의 논농사 지대에서 농사를 짓거나 길쌈을 같이 하는 노동조직인’, ‘두레’, ‘향약등도 자원봉사 정신과 같은 뜻이나 서로 품을 팔아 상부상조하는 경제적 보상의 측면이 강한 것이 지금의 자원봉사와는 차이가 있음. (권중돈 외, 자원봉사의 이 해와 실천, 2008)

 

우리의 전통적인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적으로 상부상조하는 두레와 농촌에서 노동력을 교환하는 품앗이 활동이라고 한다. 또한 신라시대에 성행하던 계조 직, 향약 등도 전통적인 자원봉사활동이라고 보고 있다.

 

1. 홍익인간 : 인간세계를 널리 이롭게 한다는 의미로 한국 사상의 원형이며 자원봉사 정신의 측면에서 보면 특징이 있다. (김성이·박영희, 2003)

• 홍익인간에 대한 자원봉사 정신의 뿌리는 순수한 인간 애인 박애 정신

• 홍익인간의 이념은 전체적 개체로서의 개인을 유익하게 한다는 뜻임과 동시에 개체적 전체로서의 국가의 사명과 역할을 표시하여 나아가서는 타 국가, 타민족까지도 유익하게 함으로써 널리 공존공영한다는 정신의 표명

• 홍익인간의 정신에는 다른 사람을 널리 이익 되게 하기 위하여 자기 불편이나 괴로운 점을 참으면서 남을 불편하지 않게 하는 선타후아(先他後我)의 미덕

• 홍익인간의 정신은 모든 인류가 추구하는 평화와 자유를 애호

2. 향도 : 전통 시대 여러 가지 공동목적 달성을 위한 조직체이며 역사적으로 삼국시대에 고대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불교의 수용 이후 활성화(김성이·박영희, 2003) • 향도의 성격 :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신도들의 결사

• 불교의 신앙 활동뿐 아니라 구성원 간의 길흉경조, 재난구제 등의 기능도 담당

• 지역공동체의 실체가 되어온 향도는 공동 노동조직의 기능을 두레가 담당하게 되었고 상장의 일만을 수행하여 상두꾼으로 잔존

• 마을이 흉사가 있을 때 앞장서서 무보수로 봉사하는 일종의 장의 봉사

• 오늘날에는 종교의 종류에 따라 위령이, 상조회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쉽게 선택하기는 어려운 특정한 자원봉사 분야이다.

3. 두레 : 촌락 단위로 조직된 공동 노동 조직으로 성인 남자 들이 협력하여 농사를 짓거나, 부녀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길쌈을 하면서 협동과 공동 오락, 사회적 약자에 대한 노동력 제공(김성이·박영희, 2003)

 지방에 따라서는 공구를, 동굴이, 조리, 동네 논매기 등으로 불림두레에 의한 공동 노동은 모내기, 물 내기, 김매기, 벼 베기, 타작 등 경작 전 과정에 걸침

• 일시적으로 많은 품이 요구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두레가 동원됨

• 마을 안에서 중병 자나 불구자, 과부 또는 초상 당한 사람이 있으면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공동으로 일을 나누어 맡기도 함.

4. 향약 : 향촌의 자치 규약으로 함께 어울려 사는 동네(지역 사회)의 발전과 동네 사람(지역주민)들의 친화. 친목을 목적으로 한 지식인 중심의 자발적인 협동조직

• 덕업 상권, 예속 상 교, 과실 상규, 환난상휼의 4대 덕목 중심

• 여러 가지 불행한 일을 당했을 때 서로 원조

• 유교적 예속 내지는 미풍양속의 보급 정착에 크게 공헌함

 

2. 1960년대까지의 자원봉사활동

1) 1960년대까지의 자원봉사활동 우리의 전통적인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적으로 상부상조하는 두레와 농촌에서 노동력을 교환하는 품앗이 활동이라고 한다. 또한 신라시대에 성행하던 계조 직, 향약 등도 전통적인 자원봉사활동이라고 보고 있다.

2) 1970-90년대의 자원봉사활동 1978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사회 봉사센터를 부설로 설치하여 자원봉사 모집, 교육. 훈련하여 필요한 기관에 배치하는 사업을 실시하였다.

1979년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에 처음으로 자원봉사론 과목을 개설하여 강의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 지방 16개의 사회복지협의회에서 자원봉사를 모집 훈련 배치 기능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시작하였다.

1984~1992년 정무장관실에서는 여성개발원에 여성 자원 활동 인력은행을 개설 운영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88올림픽 자원봉사를 모집하여 활용하면서 전 국민에게 자원봉사라는 용어를 널리 홍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994년 한국자원 봉사단체협의회가 설립되어 사회복지계 자원봉사 관련 단체와 일반 자원 봉사단체들이 연계하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정보를 협의. 조정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1995년 교육부에서 실시한 5.31교 육 개혁위원회에서 중고생 자원봉사 활동을 의무화하였고 그 후 전국 시. 도에 청소년자원봉사센터 또는 종합자원봉사센터가 설립 운영하게 됐다.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가 창립하여 산발적으로 운영하던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상호 연계하여 정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조직화하였다. 우리나라의 자치구 행정체계의 자원봉사 활동을 살펴보면 1994 12 30일 확대 경제 장관 회의 시 사회봉사 활동을 복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 적의 분위기를 개선하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확대 할 것을 대통령이 지시하였고 1996 7 9일 행정자치부에서 지역종합자원봉사센터 설치 운영 지침의 시달로 자원봉사 관련 조례안을 만들어 운영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양정화교수님 : 자원봉사론 학습지도안

반응형

댓글